노는둥 읽는둥
전시기획/설치
2018

언덕길
책마루
골목길
둥둥
책을 대하는 생각들이 변하고 있다. 지식을 습득하고 정보를 얻는 단순한 도구에서 다양한 커뮤니티를 만들어 나가는 주인공으로 변모하고 있다. 대형 서점이나 온라인 문고에서 책을 구입하는 종래의 구도에서 벗어나 개성과 특징이 좀 더 확실한 ‘작은서점’, ‘작은출판사’를 통한 만남이 늘어가고 있다. 어쩌면 책 자체의 의미를 되새기기 보다는 책을 담는 공간에 대한 재해석이 다양하게 이뤄지는 듯 하다. 어떤 이들은 그 변화가 너무 미약하다고, 또 몇 곳에서만 유행하다 이제는 시들해졌다고 이야기한다. 모든 사람의 입맛에 맞게 변화를 만들어 갈 수 없을지 모른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사람들이 책을 바라보는 관점들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이러한 다양성에 조그마한 축을 하나쯤 보태고 싶었다.
'군포시 상상마을'이라는 문화 단체에서 '책의 미래'에 대한 전시를 의뢰했다. 우리는 그런 담론적인 주제를 품을 자신이 없었기에, 그 대신 책을 대하는 다양한 공간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답했다. 의자에 앉아서 경직된 자세로 책을 읽어야 하는 도서관과 비슷한 수 많은 공간들은 수 세기가 넘도록 우리의 인식을 지배했다. 마치 경건하게 받들어야 할 성배처럼 거리감을 들게 했으며 기침소리마저 눈치를 봐야하는 조용한 공간이기를 강요하는 대한민국의 도서관은 더욱 책을 멀리하게 하는 이유였으리라.
자유롭게 옷을 고르며 맥주를 마시고 혹은 음악을 들으면서 접하게 되는 '책 공간'들은 이런 패러다임을 거부한다. 사람들은 이런 공간들을 통해 만남을 가지고 서로를 알아가며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만들어가고 있다. 우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더 많은 이들이 책에 대한 강박관념(?)을 다시 생각하기를 바랬다.
애드벌룬과 같은 쿠션위에 누워서, 여러 셀로 구분되었지만 시각적으로 어느정도 이어지는 공간 속에서 그리고 실내 속의 작은 언덕위에서 책과 함께 하는 의외성을 함께 공감하길 원했다.
.jpg)
.jpg)
.jpg)
.jpg)
좌측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골목길, 둥둥, 언덕길, 책마루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_JPG.jpg)
.jpg)
.jpg)

_JPG.jpg)